블레이드앤소울(이하 블소)에는 각각 7개로 구성된 채집과 제작이 존재한다. 유저는 이러한 조합을 다양하게 선택하여 자신이 원하는 아이템을 만들수 있다. 하지만, 채집과 제작 조합을 각각 2개씩 밖에 선택을 못한다는 제약으로 인해, 선택의 범위가 좁혀진다. 또한 제작으로 만들수 있는 아이템 중에서는 혼자서는 만들수 없는 아이템도 존재하기 때문에, 혼자서 제작을 하는것 보다는 2명 이상이 서로 협조하면서 제작을 하는편이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즐길수 있는 방법이다.
.jpg)
▲제작과 채집은 각각 2개씩 선택할 수 있다
제작아이템의 효율
동 레벨대의 영웅급 드롭아이템과 제작아이템을 비교해본다면 제작아이템의 효율이 약간 떨어지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단순히 성능이 약간 부족한 것이 전부가 아니라, 해당 아이템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동 레벨대의 네임드몬스터를 잡아 재료를 얻어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요마왕을 처치하면 악몽(검사 19레벨 검)을 획득할 수 있는데, 동 레벨대의 제작 전설 아이템인 명인의 요마검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요마왕을 처치하고 얻을 수 있는 재료(요마왕의 이빨)가 필요하다는 점이 제작 아이템의 효율을 더욱 떨어지게 만드는 것이다.

▲ 드롭 아이템에 비해선 부족한 능력치의 제작 아이템
제작 아이템의 효율은 다소 떨어질지라도 제작은 필수다
3차 CBT에서 최상위 경공을 배울수 있는 퀘스트를 완료하려면 봉마함 6개를 필요로 한다. 이 봉마함은 제작을 최고레벨까지 올린 장인 유저가 최소 2~3명은 모여야 제작이 가능한 아이템으로 그 재료를 모으는 것 또한 쉽지 않다. 3차 CBT에서는 제작을 신경쓰지 않고 레벨업만 하다가 최상위 경공을 배우기 위해 다시 저레벨 지역을 향하는 고레벨 유저들도 다수 존재하였다.

▲ 만금당, 성군당, 도기방의 장인들이 모여야 제작할 수 있는 봉마함
유저의 레벨이 더욱 높아질수록 공략하게 되는 인스턴트 던전의 난이도 또한 상승한다. 그만큼 물약, 수리도구 등 의 소모성 아이템이 많이 필요 해지고 던전을 플레이 중인 유저는 언제든지 시장(F5)를 열람하여 각 종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다. 이러한 끊임없는 수요로 인해 소모성 아이템을 제작하는 제작단이 가장 각광 받고 있다. 그 반면에 무기, 보패, 악세사리와 같은 장비 제작은 네임드 몬스터가 드롭하는 아이템에 비해 능력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소모성 아이템을 만드는 제작단에 비해 다소 효율이 떨어진다.

▲ 인스턴트 던전 공략중 무기가 파괴되면 어쩔수 없이 구매하는수리도구
☞관련기사 보러가기
글: 게임메카 정태원 기자 (김섬월, sumwol828@gamemeca.com)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 지스타 불참사 관계자들이 밝힌 '지스타 패싱' 이유
- 타르코프 스팀판 환불하니, 기존 계정까지 차단 당했다?
- 몬길 PD와 사업부장, 프란시스와 린 코스프레 약속
- 엔씨 신더시티, 멋진 겉모습 뒤 부실한 슈팅게임 기본기
- [순정남] 괴이분들께, 지스타에서 먹어도 되는 인간 TOP 5
- 디스코 엘리시움과 33원정대 작가의 스토리 철학은?
- [오늘의 스팀] 타르코프 출시에도, 아크 레이더스 동접 48만
- 지스타 2025서 만난, 미래 기대되는 인디게임 10선
- 게이트 오브 게이츠 제작진 "로그라이크식 육성이 차별점"
- 전 여친이 있는 던전에서 '몬스터와 썸타는 RPG' 공개
게임일정
2025년
11월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