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와우(WOW)> 메카리포트 > 공략]

`신드라고사`는
`사울팽`, `구린속` 등 딜로써 승부를 보았던 네임드들과는
달리, 딜을 할 수록 생존이 위험해지므로 강력한 화력보다는
센스가 더욱 중요시되는 네임드 입니다. 따라서 딜에 대한
압박이 크게 줄어들겠지만, 까딱하다간 차디찬 바닥에 누워
X-맨 소리를 들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신드라고사`와의
전투는 지상페이즈와 공중페이즈 그리고 지상과 공중 페이즈가 결합된
3페이즈로 분류되며, 낙스라마스의 `사피론`과 비슷한 패턴을 보이고
있어 `사피론`을 한
번쯤 처치해 보았다면 공략을 이해하기 쉬울
것입니다.
▲
목록으로 바로가기
|
공격대
구성(10인)
|
공격대
구성(25인)
|
|
탱커2
/ 딜러 5~6 / 힐러 2~3
|
탱커2
/ 딜러 16~17 / 힐러 6~7
|
|
역할별
간단 공략
|
|
|
1
페이즈
|
|
공통
|
1.
냉기의 오라로 모든 공격대원이 지속적으로
피해를 입습니다. 따라서 공격대원끼리 한점에
뭉쳐 힐을 받는 것이 더욱 좋습니다.
2.
신드라고사가 얼음 손아귀를 사용하여, 모든
공격대원을 끌어당깁니다. 이후에 3만의 피해를
입히는 냉혹한 한파를 사용하는데, 이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신드라고사로 부터
25m 이상 떨어져야 합니다.
3.
얼음 손아귀 타이밍에 사냥꾼이 `치타 무리의
상`을 활성화 시키면, 이동하기가 한결 수월해집니다.
|
|
탱커
|
1.
신드라고사의 머리와 꼬리가 본진을 향하지
않도록 조심하며 탱킹합니다.
2.
냉기 숨결 디버프로 인해, 냉혹한 한파를 피하기가
여의치 않으므로 위험하다 싶으면 생존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3.
`신드라고사` 탱커에게 꿰뚫는 한기 디버프가
생기면, 사무치는 한기 4~5중첩 되기 전에
보조 탱커가 도발하여 탱킹을 인계해야 합니다.
|
|
힐러
& 원거리 딜러
|
1.
밀리 딜러 진형의 뒤 쪽편에 자리잡고 딜과
힐을 해야합니다.
2.
해방된 마법 디버프가 걸려있을 때 주문을
시전하면 불안정 디버프가 중첩되며, 이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잠시 주문 시전을 멈춰야
합니다. 안정적인 공략을 하기 위해서는 4~5중첩
이상 쌓이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
|
밀리
딜러
|
1.
신드라고사의 머리와 꼬리를 피해 옆구리에서
딜을 해야합니다.
2.
꿰뚫는 한기 디버프가 걸려있을 때 신드라고사를
공격하면 사무치는 한기의 디버프가 중첩되며,
이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잠시 딜을 멈춰야
합니다. 안정적인 공략을 하기 위해서
14~15중첩 이상 넘어가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
|
2
페이즈
|
|
공통
|
1.
신드라고사가 중앙으로 이동하면, 미리 지정된
위치로 모여야 합니다.
2. 냉기 봉화
대상자는 미리 지정한 위치로 이동하여, 공격대원이
피해를 받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
|
탱커
|
1.
신드라고사가 내려오기 시작하면 탱킹을 준비해야
합니다.
2. 도발이
들어가면, 본진에 얼음 숨결 등을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하며 머리를 돌려야 합니다.
|
|
힐러
|
1.
냉기 봉화 대상자가 얼음 무덤 상태가 되기
전에 지속 치유 스킬을 사용해야 합니다.
|
|
딜러
|
1.
얼음 무덤의 생명력이 20%정도 남을 때까지
공격하고, 서리 폭탄이 모두 떨어진 후 얼음 무덤을
깨뜨려야 합니다.
|
|
3
페이즈
|
|
공통
|
1.
3페이즈에서는 1페이즈에서 사용하던 스킬에
얼음 무덤, 신비한 강타가 추가됩니다.
2.
얼음 무덤 대상자는 미리 지정된 위치로 이동하여
공격대원이 피해를 받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3.
얼음 무덤이 생성되면, 얼음 무덤 뒤로 이동하여 디버프를
해제해야 합니다.
|
|
탱커
|
1.
보조탱커는 얼음 무덤 뒤에 숨어 있다가, 얼음
무덤이 깨지는 순간 메인탱커 자리로 이동하여
도발해야 합니다. (반드시 자리 잡은 후 도발해야
합니다.)
2. 보조탱커가 탱킹을 시작하면
메인탱커는 밀리 진형으로 이동한 뒤, 얼음
무덤이 생성되면 디버프를 해제해야 합니다.
3.
신드라고사가 쓰러질 때까지 위의 작업을 번갈아가며
수행해야 합니다.
|
|
힐러
|
1.
얼음 무덤 대상자가 무덤 상태가 되기 전에
지속 치유 스킬을 사용해야 합니다.
2.
디버프를 해제할 때, 시야에 가려 탱커에게
힐을 주지 못할 수 있으므로 순서를 지정하여
해제하는 것이 안정적입니다.
|
|
밀리
딜러
|
1. 사무치는
한기
디버프 해제 작업과 동시에 얼음 무덤을 깨뜨리는
역할을 수행해야 합니다.
2.
신드라고사의 생명력이 10% 가량 남으면, 디버프를
무시하며 영혼의 딜을 해야합니다. (물론 생존기를
사용하면 더욱 좋습니다.)
|
|
원거리
딜러
|
1.
불안정 디버프 해제 작업은 필수! 그 외에는 신드라고사를
열심히 공격해야 합니다.
|
|
▲
목록으로 바로가기
|
신드라고사의
특징 및 공략 방법 (10인)
|
|
|
1페이즈, 기본
중의 기본! 디버프 관리를 터득하자
|
`신드라고사`는
꼬리쪽 지면에 꼬리
강타를 사용하여 주변의 대상에게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절대 꼬리쪽으로는 이동해선 안됩니다.
또한 정면에서는 회전베기와 냉기
숨결을 사용하므로, 탱커를
제외한 다른 공격대원은 정면으로 이동해선 더더욱 안됩니다. 따라서
근접 딜러들은 `신드라고사`의 옆구리에서 자리잡고 딜을 하며,
원거리 딜러와 힐러들은 근접 딜러의 뒤쪽에 자리잡고 딜과
힐을 해야 합니다.
한가지
더! `신드라고사`와의 전투 내내 냉기의
오라를 사용하기 때문에
모든 공격대원이 피해를 받습니다. 따라서 분산된 진형보다는
뭉쳐있는 것이 힐을 주거나 받기가 수월합니다.

▲ 자리
배치도
`신드라고사`
공략에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사무치는
한기와 불안정
디버프를 관리하는 것입니다. 이 스킬들은 꿰뚫는
한기
또는 해방된
마법 디버프가 걸린 상태에서 `신드라고사`를 공격하거나
주문을 시전할
수록 중첩되어, 생존을 위협합니다. 반대로, 지속시간이
끝날 때까지 공격과 주문 시전을 멈추면 디버프가 해제됩니다. 안정적으로
공략하기 위해서 밀리 딜러는 8중첩, 캐스터는 4중첩 이상 쌓이지
않도록 유지해야 합니다.

▲ 디버프를
해제할 때에는 Esc버튼을 연타하여,
대상을
잡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투
중간중간
`보랏빛 요새`의 `시아나고사` 처럼 모든 공격대원을 자신의
발 밑으로 데려오는 얼음
손아귀를 사용합니다. 이 스킬
자체는 위협적이지 않지만, <얼음 손아귀> 이후 시전하는 냉혹한
한파에 대비해야 합니다. <냉혹한 한파>는 3만이라는 무시무시한
피해를 입히지만 25m이상 이동하면 피해를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신드라고사`에게
끌려간다면 <냉혹한 한파>의 범위를
벗어날 준비를 해야합니다.
단
탱커의 경우 <냉기 숨결>로 인해 이동속도가 느려지므로,
<냉혹한 한파>를 피하기가 여의치 않습니다. 때문에 탱커가 급사하지
않도록 힐러들이 잘 챙겨주어야 합니다.

▲ 5초내로
25m이상 도망가기 위해서는 부지런히 달려야 합니다.
※
`신드라고사`에게 끌려가는 도중, 사냥꾼이 `치타 무리의
상`을 활성화시키면 이동하기가 수월해집니다.
`신드라고사`가
중앙으로 이동하면, 공중페이즈가 시작된다는 뜻입니다.
모든 공격대원은 한
점에 모여있다가, 냉기
봉화가 찍힌 대상자는 미리 지정된
자리로 이동하여 얼음
무덤이 될 준비를 해야 합니다.

▲
자리 배치도(10인에서는 2개의 봉화가 생성)
무덤
상태가 될 때, 약 1.5만의 피해를 받으므로, 힐러들은 <냉기
봉화> 대상자에게 지속
치유 스킬을 사용해야
합니다. 그리고 <냉기 봉화> 대상자가
무덤 상태가 되면 남은 공대원은 무덤 뒤로 빠르게 이동하여,
서리폭탄에 대비해야 합니다.
※
<얼음 무덤> 뒤에 숨으면, <서리폭탄>에 피해를 받지 않습니다.

▲
서리폭탄의 투하 지점은 수시로 변화됩니다. 마법진의
위치에 맞춰 이동해야합니다.
<냉기
봉화> 대상자가 <얼음 무덤>이 되고, 25초가 지나면
질식 디버프가
생겨납니다. 따라서 이동이
완료되면 각 무덤을 20%정도 남을 때 까지 공격하고, <서리
폭탄>이 모두 떨어진 후 무덤을 깨뜨려야 안전 합니다.
`신드라고사`의
생명력이 35%정도 남으면 3페이즈가 시작됩니다. 3페이즈에서는 1페이즈에서 사용하던
스킬에 <얼음 무덤>과 신비한
강타가 추가됩니다. 마법 피해를 증가시키는 디버프인
<신비한 강타>는 <얼음 무덤> 뒤에 숨어있으면 중첩되지 않으며, 지속시간이 끝나면 해제됩니다.
따라서 <얼음 무덤>을 얼마나 잘 사용하느냐가 3페이즈의 키 포인트입니다.

▲ 얼음
무덤에 숨어 신비한 강타 디버프를 해제해야 합니다.
위의
배치도를 참고하여, <얼음
무덤> 대상자는 ★로 이동하고 무덤 상태가 되면 밀리 딜러들이 이동해서
무덤을 부숴야 합니다. 이 때, 원거리 딜러와 힐러, 보조
탱커까지 모두 이동하여 <신비한 강타> 디버프를 해제하여야 합니다.
보조 탱커는 무덤이 깨지는
순간 메인 탱커의 위치로 이동한 뒤, 도발하여 탱킹을 인계해야 합니다. (※ 탱커
자리로 이동하기 전에 도발을 먼저 사용하면 공격대원이 <얼음 숨결>이나 ,<회전베기>에
노출되어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반드시 주의해야 합니다.) 이후 메인 탱커 역시
보조 탱커와 마찬가지로 무덤 뒤로 숨어 디버프를 해제해야 합니다.
약
3~4번 가량의 <얼음 무덤>을 처리하면 `신드라고사`의
생명력이 10%정도 남는데, 이때에는 `오라 숙련`, `성스러운
희생`, `블러드/영웅심`
등을 사용하여 밀리 딜러도 `신드라고사`를 공격하여 빠르게
처치하는 것이 수월합니다.
|
▲
목록으로 바로가기
▲
목록으로 바로가기
|
신드라고사의
특징 및 공략 방법 (25인)
|
|
|
1페이즈,
기본
중의 기본! 디버프 관리를 터득하자
|
`신드라고사`는
꼬리쪽 지면에 꼬리
강타를 사용하여 주변의 대상에게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절대 꼬리쪽으로는 이동해선 안됩니다.
또한 정면에서는 회전베기와 냉기
숨결을 사용하므로, 탱커를
제외한 다른 공격대원은 정면으로 이동해선 더더욱 안됩니다. 따라서
근접 딜러들은 `신드라고사`의 옆구리에서 자리잡고 딜을 하며,
원거리 딜러와 힐러들은 근접 딜러의 뒤쪽에 자리잡고 딜과
힐을 해야 합니다.
한가지
더! `신드라고사`와의 전투 내내 냉기의
오라를 사용하기 때문에
모든 공격대원이 피해를 받습니다. 따라서 분산된 진형보다는
뭉쳐있는 것이 힐을 주거나 받기가 수월합니다.

▲ 자리
배치도
`신드라고사`
공략에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사무치는
한기와 불안정
디버프를 관리하는 것입니다. 이 스킬들은 꿰뚫는
한기
또는 해방된
마법 디버프가 걸린 상태에서 `신드라고사`를 공격하거나
주문을 시전할
수록 중첩되어, 생존을 위협합니다. 반대로, 지속시간이
끝날 때까지 공격과 주문 시전을 멈추면 디버프가 해제됩니다. 안정적으로
공략하기 위해서 밀리 딜러는
8중첩, 캐스터는 4중첩 이상 쌓이지 않도록 유지해야 합니다.

▲ 디버프를
해제할 때에는 Esc버튼을 연타하여,
대상을
잡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투
중간중간
`보랏빛 요새`의 `시아나고사` 처럼 모든 공격대원을 자신의
발 밑으로 데려오는 얼음
손아귀를 사용합니다. 이 스킬
자체는 위협적이지 않지만, <얼음 손아귀> 이후 시전하는 냉혹한
한파에 대비해야 합니다. <냉혹한 한파>는 3.5만이라는 무시무시한
피해를 입히지만 25m이상 이동하면 피해를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신드라고사`에게
끌려간다면 <냉혹한 한파>의 범위를
벗어날 준비를 해야합니다.
단
탱커의 경우 <냉기 숨결>로 인해 이동속도가 느려지므로,
피하기가 여의치 않습니다. 때문에 탱커가 급사하지
않도록 힐러들이 잘 챙겨주어야 합니다.

▲ 5초내로
25m이상 도망가기 위해서는 부지런히 달려야 합니다.
※
`신드라고사`에게 끌려가는 도중, 사냥꾼이 `치타 무리의
상`을 활성화시키면 이동하기가 수월해집니다.
`신드라고사`가
중앙으로 이동하면, 공중페이즈가 시작된다는 뜻입니다.
모든 공격대원은 한
점에 모여있다가, 냉기
봉화가 찍힌 대상자는 미리 지정된
자리로 이동하여 얼음
무덤이 될 준비를 해야 합니다.

▲
자리 배치도(25인에서는 5개의 봉화가 생성)
무덤
상태가 될 때, 약 1.5만의 피해를 받으므로, 힐러들은 <냉기
봉화> 대상자에게 지속
치유 스킬을 사용해야
합니다. 그리고 <냉기 봉화> 대상자가
무덤 상태가 되면 남은 공대원은 무덤 뒤로 빠르게 이동하여,
서리폭탄에 대비해야 합니다.

▲
서리폭탄의 투하 지점은 수시로 변화됩니다. 마법진의
위치에 맞춰 이동해야합니다.
<냉기
봉화> 대상자가 <얼음 무덤>이 되고, 25초가 지나면
질식
디버프가
생겨납니다. 따라서 이동이
완료되면 각 무덤을 20%정도 남을 때 까지 공격하고, <서리
폭탄>이 모두 떨어진 후 무덤을 깨뜨려야 안전 합니다.
`신드라고사`의
생명력이 35%정도 남으면 3페이즈가 시작됩니다. 3페이즈에서는 1페이즈에서 사용하던
스킬에 <얼음 무덤>과 신비한
강타가 추가됩니다. 마법 피해를 증가시키는 디버프인
<신비한 강타>는 <얼음 무덤> 뒤에 숨어있으면 중첩되지 않으며 지속시간이 끝나면 해제됩니다.
따라서 <얼음 무덤>을 얼마나 잘 사용하느냐가 3페이즈의 키 포인트 입니다.

▲ 얼음
무덤에 숨어 신비한 강타 디버프를 해제해야 합니다.
위의
배치도를 참고하여, 첫 <얼음
무덤> 대상자는 ★로, 두 번째 대상자는 ▼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얼음 무덤> 대상자가 무덤으로 바뀌면, 밀리 딜러들이 이동해서
무덤을 부숴야 합니다. 이때, 원거리 딜러와 힐러, 보조
탱커까지 모두 이동하여 <신비한 강타> 디버프를 해제해야 합니다.
보조 탱커는 무덤이 깨지는
순간 메인 탱커의 위치로 이동한 뒤, 도발하여 탱킹을 인계해야 합니다. (※ 탱커
자리로 이동하기 전에 `도발`을 먼저 사용하면 공격대원이 <얼음 숨결>이나 <회전베기>에
노출되어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반드시 주의해야 합니다.) 이후 메인 탱커 역시
보조 탱커와 마찬가지로 무덤 뒤로 숨어 디버프를 해제해야 합니다.
약
3~4번 가량의 <얼음 무덤>을 처리하면 `신드라고사`의
생명력이 10%정도 남는데, 이때에는 `오라 숙련`, `성스러운
희생`, `블러드/영웅심`
등을 사용하여 밀리 딜러도 `신드라고사`를 공격하여 빠르게
처치하는 것이 수월합니다.
|
▲
목록으로 바로가기
▲
목록으로 바로가기
글_게임메카
최혁식 기자 (레라스, gc8841@gamemeca.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