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기사 > 전체

[박대박] 신작FPS 랜드매스 VS 크로스파이어

/ 1

[박대박] 랜드매스 VS 크로스 파이어

지난해 말부터 FPS 게임이 대거 출현하면서 FPS팬들은 행복한 비명을 지르고 있다. ‘테이크다운’, ‘아바’, ‘랜드매스’, ‘크로스 파이어’ 등 많은 FPS 게임들이 클로즈베타테스트를 실시했고, 속속 오픈베타서비스로 나아가고 있다. 오늘 비교해볼 FPS게임은 메카닉물인 ‘랜드매스’와 밀리터리물인 ‘크로스 파이어’다. 지금부터 두 게임의 철저하게 비교, 분석해보자.

▲ 랜드매스

▲ 크로스 파이어

■ 랜드매스의 특징

랜드매스는 현재 인기를 끌고 있는 밀리터리 FPS게임과는 차별성으로 승부하고 있다. 바로 강화슈츠를 입고 게임을 진행한다는 것. 막상 게임을 해보면 헤드샷이 존재하고, 몇 대만 맞아도 죽어버리기 때문에 강화슈츠를 입은 게 맞나 하는 생각도 든다.

하지만 메카닉 요소가 가미되어 게임플레이는 기존의 밀리터리 FPS와 상당히 다르다. ‘SHIFT’키를 누르고 이동하면 부스트 대쉬를 할 수 있는데, 이것이 많은 변수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약간 떨어진 곳에서 격전이 일어나고 있는데 빨리 전투에 참여해 아군을 돕고 싶다면 부스트를 이용하여 단시간에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전장에서 빠르게 이탈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 회피운동을 하며 적의 저격으로부터 자신을 지키는 도구로도 사용할 수 있다. 타 게임처럼 일정한 속도로 이동한다면 지그재그로 이동한다 해도 어느 정도의 예측을 할 수 있기에 스나이퍼의 제물이 되기 일쑤였다. 하지만, 랜드매스에서는 부스터를 이용하여 급격한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예측사격을 힘들게 만들 수 있다.

▲ 메카닉을 이용해 빠른 스피드와 박진감을 내세운 랜드매스

■ 크로스 파이어의 특징

‘크로스 파이어’는 처음 발표된 스크린샷과 클로즈베타테스트 이후 제목의 뜻 그대로 많은 유저들의 집중포화를 받은 게임이다. ‘카운터 스트라이크’와 유사하다는 것이 바로 그 이유다. 그리고 다른 FPS와 비교해서 특별한 차이점이 있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이번 오픈베타테스트에서는 많은 부분이 수정됐다.

이번에 크로스 파이어에서 볼 수 있는 가장 특이점은 바로 새로운 매치모드이다. 고스트 매치 모드라고 이름 붙은 이 모드는 테러리스트 팀과 글로벌리스트 팀의 숨막히는 숨바꼭질(?)을 그리고 있다.

테러리스트팀은 클로킹이 설정되어 있는 반면 근접무기와 설치용 폭탄으로만 글로벌리스크팀을 상대해야 한다. 블루팀은 모든 무기를 사용할 수 있지만 테러리스트팀을 찾기는 힘들다(클로킹 상태이기 때문에). 고스트 매치 모드에서는 양 팀의 특징이 뚜렷하게 나타나기에 어느 팀으로 해도 재미있는 플레이를 할 수 있다. 테러리스트 팀으로 플레이 한다면 적의 눈치를 잘 보며 이동을 해야 하고, 눈치껏 다가가 칼로 상대방을 사살해야 한다. 글로벌리스크 팀으로 플레이 한다면 주변에서 숨소리가 나는지, 혹시라도 주변에서 흐릿하게 뭔가 움직이고 있지는 않은지 잘 파악하여 자신의 생명을 지켜야 한다.

▲ 신선함은 떨어지지만 새로운 놀거리를 제공한 크로스 파이어

이제 각 게임에 대한 전반적인 특징을 알아봤으니 본격적인 비교를 시작해보자.

■ 그래픽- 랜드매스 > 크로스 파이어

말할 것도 없이 ‘랜드매스’의 압승이다. 애초에 ‘크로스 파이어’는 저사양 PC를 타겟으로 만든 게임이기 때문이다. 그에 반해 ‘랜드매스’는 게임 실행 시 로그인 화면부터 임팩트가 느껴진다. 깔끔한 실시간 랜더링 그래픽과 각종 효과들이 돋보이는 로그인 화면을 지나면 각종 메뉴 화면이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 물론 게임 내에서의 그래픽도 훌륭하다. 총알을 맞으면 주위 물건들이 부서지는 효과라던지, 탄흔이 벽에 남는 효과 등을 비롯하여 HUD와 기체의 효과도 멋지게 살렸다.

▲ 랜드매스

▲ 크로스 파이어

■ 사운드- 랜드매스 > 크로스 파이어

사운드 부문에서도 ‘랜드매스’가 두각을 나타낸다. 애초에 다른 컨셉의 게임이라 사운드 효과를 비교하기 힘들지만, ‘크로스 파이어’는 기존에 익히 들어왔던 효과음들이 대부분이다. 반면 ‘랜드매스’는 메카닉의 느낌을 살리기 위한 각종 효과음을 게임에 자연스럽게 녹였다.

■ 조작성- 랜드매스 = 크로스 파이어

두 게임의 컨셉이 달라 비교, 평가하기 힘들다. ‘랜드매스’는 근미래를 배경으로, ‘크로스 파이어’는 현대를 배경으로 풀어나가고 있는데다, 그에 따라 등장 캐릭터의 스킬 등이 달르기 때문이다. 앞서도 말한 것처럼 ‘랜드매스’에서는 부스트 기능이 있어 전략적인 컨트롤이 가능하고, ‘크로스 파이어’에서는 고스트 매치 모드가 있어 신중한 컨트롤이 필요하다. 조작성에 있어서는 두 게임이 너무 다르기에 일단 무승부.

▲ 랜드매스

▲ 크로스 파이어

■ 게임성- 랜드매스 > 크로스 파이어

객관적으로 봤을 때 ‘랜드매스’에 손을 들어주고 싶다. ‘랜드매스’에선 네 개의 클래스가 각각 확실한 특징을 가지고 있고, 그 특징을 부스트 사용방법으로 극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병의 경우 레이더와 지뢰 등으로 적을 찾아 유인한 후, 잽싸게 후퇴하는 식으로 적을 안전하게 해치울 수 있다. 중화기 클래스는 각종 중화기를 이용한 화끈한 화력전을 펼칠 수 있다. 이처럼 ‘랜드매스’에서는 클래스별 특징이 매우 뚜렷한데 반해 ‘크로스 파이어’는 뚜렷한 특징을 찾아볼 수 없다.

▲ 랜드매스

▲ 크로스 파이어

■ 몰입도- 랜스매스 > 크로스 파이어

FPS게임이 대세를 이루다 보니 ‘랜드매스’와 ‘크로스 파이어’ 둘 역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허나 이것이 단순 호기심인지, 게임에서 끌어들이는 흡입력인지는 판가름되지 않았다. ‘랜드매스’는 컨셉과 조작성에서 기존의 온라인 FPS와는 차이가 있고, ‘크로스 파이어’는 고스트 매치 모드로 FPS 팬들을 유혹하고 있다.

하지만 ‘크로스 파이어’는 고스트 매치 모드를 제외하면 기존 온라인 FPS게임과 차별화된 점을 찾아볼 수 없다. 그에 반해 ‘랜드매스’는 기존의 온라인 FPS와는 색다른 느낌으로 플레이 할 수 있다. 이런 점으로 비춰볼 때, 흡입력은 ‘랜드매스’가 더 크지 않을까 생각된다.

▲ 랜드매스

▲ 크로스 파이어

■ 편의성- 랜드매스 < 크로스 파이어

편의성 부분에서는 당연히 ‘크로스 파이어’의 압승이다. 저사양 PC에 최적화된 게임이기에 높은 사양을 요구하는 ‘랜드매스’에 비해 압도적인 퍼포먼스가 나오기 때문이다. ‘랜드매스’의 경우는 초반 로딩도 긴 편이고, 게임이 끝나고 대기 화면으로 돌아올 때 화면 깨짐 현상, 긴 로딩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유저를 가슴 떨리게 만든다(다운된 것이 아닐까 하는).

■ 두 게임의 아쉬운 점

둘 다 신선함이 있지만, 아쉬운 점도 존재한다. ‘랜드매스’의 경우 강화슈츠를 입었음에도 단발에 죽어버린다는 점. 최근 대부분의 FPS게임에서 헤드샷을 볼 수 있기 때문에 넣은 듯하다. 그렇다 하더라도 몸을 보호하기 위해 메카닉(강화슈츠)를 입었는데 총알 한 방에 죽는다는 것이 현실성을 떨어뜨린다. 그리고 한 두 발만 맞아도 팍팍 깎이는 체력까지 하면 이게 과연 몸을 보호하라고 입고 있는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든다. (하지만 맞았을 때 파편이 튀는 효과나 이동할 때 HUD의 모습은 잘 만들어졌다).

‘크로스 파이어’는 독특한 게임 모드로 유저들의 시선을 사로잡는데는 성공했지만, 그 이후에 유저들을 계속 잡고 있는 컨텐츠가 부족하다. 각 총기의 특색도 약하고, 저격도 어렵다. 그리고 클로즈베타테스트부터 거론된 시대역행적 그래픽. 아무리 저사양에서도 돌아가게 만든 게임이라고는 하지만, 90년대 그래픽은 심한 것 아닐까?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잡지
2000년 12월호
2000년 11월호
2000년 10월호
2000년 9월호 부록
2000년 9월호
게임일정
202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