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와우> 특집기사> 정보]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중국 서비스사가 기존 `더나인`에서 `넷이즈`로 바뀐다. 중국 게임매체 Duowan닷컴은 블리자드가 `더나인`과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재계약 협상을 파기하고, 넷이즈와 독점서비스 계약을 맺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더나인과 계약기간이 만료되는 올 6월부터 넷이즈가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중국 서비스를 실시하게 된다. 이번 교체 배경에는 최근 `리치왕의 분노`를 놓고 벌어진 `더나인`과 `블리자드`의 불편한 관계가 깔려있다. 중국정부가 `리치왕의 분노`의 판권허가를 계속해서 거절하면서 두 회사 간의 신뢰관계에도 금이 갔다는 의견이다. 중국 정부는 `리치왕의 분노`의 폭력적인 표현과 반사회적인 퀘스트 내용을 문제 삼아 서비스 허가를 거부해 왔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더나인은 기존 온라인게임 수익악화와 `리치왕의 분노` 서비스 차질로 회사가 어려워진 상황이다. 블리자드 입장에서는 올 6월 더나인과 계약을 만료 되는 시점에서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뿐만 아닌 `스타크래프트2`, `디아블로3` 서비스 하려면 보다 안전한 파트너를 구할 필요가 있었다. 실제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서비스 계약을 맺기 위해 `넷이즈`, `텐센트` 등 중국 유력 업체들이 물밑 경쟁을 펼쳐왔다. 중국업계 관계자는 "`스타크래프트2`가 발매되면 해적판이 범람할 것이란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넷이즈는 그런 블리자드의 불안심리를 안심시키며 `스타2` 계약을 맺고 최종 목적인 와우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고 전했다. 블리자드는 지난해 8월 `스타크래프트2`와 `워크래프트3`의 배틀넷 운영권 계약을 더나인이 아닌 넷이즈와 맺었다. 이와 함께 넷이즈와 블리자드는 공동으로 합자회사를 설립해 게임운영의 기술지원와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넷이즈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를 서비스 하기 위해 대규모 하드웨어를 구매하는 등 서버 이전준비를 서두르고 있다. 하지만 500만 명 이상의 회원자료를 인계받고, 게임심의도 다시 받아야 하는 상황이라 당분간 게임서비스에 적잖은 부담이 따를 전망이다. 넷이즈는 `몽환서유`, `대화서유2`를 히트시키며 경쟁업체인 샨다와 나인유를 제치고 중국 게임시장 부동의 1위 자리에 있다. 이번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계약을 성사시키면서 넷이즈는 중국에서 세 손가락 안에 드는 게임들을 모두 서비스하게 된 셈이다. 글: 게임메카 이덕규 기자 |
- 플랫폼
- 온라인
- 장르
- MMORPG
- 제작사
- 블리자드
- 게임소개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는 '워크래프트' 세계관을 토대로 개발된 온라인게임이다. '워크래프트 3: 프로즌 쓰론'의 4년이 지난 후를 배경으로 삼은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 플레이어는 얼라이언스와 호드, 두 진... 자세히
- [순정남] '대책 없는 쓰레기'지만, 평가는 좋은 악당 TOP 5
- 몬길 PD와 사업부장, 프란시스와 린 코스프레 약속
- 아이온2 출시와 함께 엔씨소프트 주가 15% 급락
- 지스타 불참사 관계자들이 밝힌 '지스타 패싱' 이유
- 타르코프 스팀판 환불하니, 기존 계정까지 차단 당했다?
- 엔씨 신더시티, 멋진 겉모습 뒤 부실한 슈팅게임 기본기
- 라운드8 이상균 디렉터의 소울라이크 신작, 윤곽 드러났다
- "약속 위반" 엔씨, 아이온2 P2W 상품 논란 일자 철회
- 게임 과금에 '배송 실패'가 웬 말? 아이온2의 미숙한 오픈
- [포토] 지스타 코스프레, 올해 대세는 체인소맨&레제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