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기사 > 전체

게이머의 골칫거리, 악성코드를 잡아라!!

/ 2

인터넷을 사용하다가 흔히 들어봤을 스파이웨어(Spyware). 이번 기획에서는 스파이웨어의 정의와 증상, 치료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나도 몰래 개인정보유출, 스파이웨어
먼저 스파이웨어는 개인이나 기업의 정보를 특정인이 수집하는데 도움을 주는 기술을 말한다. 자신이 무심코 다운받은 파일을 실행시키는 순간 자동적으로 자신의 PC에 스파이웨어가 깔리게 되고, 그 후엔 자신의 의사와 상관없이 개인정보가 유출된다.

▲원치않는 팝업창은 이제 가라!

인터넷,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속도가 느려짐
보통은 특정기업의 광고나 통계조사를 위해 사용되지만, 악의적으로 사용될 경우 개인아이디나 패스워드까지 유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CPU처리속도가 느려지고 언인스톨마저 되지 않아 인터넷을 하거나 게임과 같은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큰 불편을 겪을 수 있다. 그 외 인터넷 접속시 팝업창이 생성된다거나 시작페이지가 고정되는 등의 증상도 나타난다.

▲악질은 CPU의 부하를 높이기도 한다

▲언인스톨마저 되지 않으면 난감하다

3~4개 프로그램으로 치료, 1개의 프로그램으로 감시
스파이웨어 제거프로그램은 국내외로 수백가지가 넘을 정도로 그 양이 많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스파이웨어만 제거하기 보다는 각종 바이러스, 악성코드제거 및 PC최적화 기능도 함께 제공한다. 여러 프로그램을 함께 사용하면 웬만한 불안요소는 제거할 수 있지만 CPU의 부하가 높아지거나 원치않는 실행이 될 수도 있으니 이에 주의하자. 보통 3~4개의 프로그램을 사용해 치료하고, 1개의 프로그램만을 켜놓아 외부의 접속을 감시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한다. 그럼 대표적인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애드어웨어(Ad-aware), 국내외 최고의 선호도
해외 라바소프트에서 제공하는 무료 애드웨어제거 프로그램이다. 현재 자신의 PC에 설치돼 있는 스파이웨어를 제거할 수 있다. 자신이 필요할 때만 실행시킬 수 있으며, 상시동작은 유료서비스로 제공된다. 검사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지만, 선호도가 높다. 영어로 배포되지만, 한글패치가 있어 사용하기는 쉽다.

▲라바소프트사의 무료 프로그램, 애드어웨어

▲탁월한 팝업관리, 노애즈

노애즈(NoAds), 팝업관리 편리
해외 사우스베이 소프트웨어에서 제공하는 무료 팝업감시 프로그램이다. 인터넷은 물론 자신의 PC에서 활성화된 창들을 알기쉽게 보여준다. 영어로 쓰여진 점이 단점이지만, 팝업을 바로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웹 브라우저별로 애드웨어 배포 서버들을 체크해 사전 접근을 차단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애드큐어, 빠른 검사실행
국내 지오트사에서 제공하는 악성코드제거 프로그램이다. 바이러스, PC최적화를 위한 파일제거기능과 인터넷 시작페이지 설정기능도 지니고 있다. 유료로 제공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지만, 깔끔한 인터페이스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빠른 검사실행, 애드큐어

▲메모리 관리, PC도사

PC도사, 메모리 검사기능
국내 이지글로벌 네트워크사에서 제공하는 악성코드제거 프로그램이다. 악성코드의 차단기능 및 PC최적화, 메모리 검사기능도 지니고 있다. 무료로 제공되며 실행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단, 개발진이 AV-SCAN이라는 새로운 악성코드제거 프로그램에 투입돼 더 이상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2005년 9월 이전까지 등장한 악성코드에 대해 유효하다.

제거되지 않은 프로그램들은 직접 찾자
앞의 프로그램을 사용하더라도 제거되지 않는 악성 프로그램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수시로 업데이트를 해 최근에 발생한 코드들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CPU의 부하를 높혀 작업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는 코드들은 수동으로 제거하거나 작동을 못하도록 조치하자. 아래에 간단한 수동조치법을 소개한다.

1.작업관리자를 띄우고, 의심되는 프로세스가 실행되는지 확인한다.
2.작업관리자에서 해당 프로세스를 제거한다.
3.파일검색을 통해 해당 실행파일이 있는 프로그램 폴더를 제거한다.
4.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사용해 해당 실행파일과 관련된 레지스트리를 제거한다.
5.위의 방법도 안될 경우, 해당폴더의 이름을 변경해 프로그램의 실행을 막는다.

▲작업관리자를 실행해 의심되는 프로세스를 조사

▲탐색을 통해 해당폴더의 제거

▲실행창을 띄워 레지스트리 편집기 사용

▲해당폴더와 관련된 레지스트리를 찾아서 제거

앞에서 소개한 방법을 통해 내 PC를 최적화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이지만, 무엇보다도 알려지지 않은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실행시키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최악의 경우 포맷도 생각해야 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백업해 두는 습관을 들이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잡지
2006년 8월호
2006년 7월호
2005년 8월호
2004년 10월호
2004년 4월호
게임일정
202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