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기사 > 전체

싱가포르 비디오게임시장 “90년대 국내 마니아시장과 비슷”

/ 2

게임시장규모는 작지만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비해 높은 구매력과 발전된 인프라를 갖추고 있는 싱가포르. 기능적인 측면보다는 동남아시아 시장진출을 위한 교두보로서 전략적 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있어 싱가포르에는 마이크로소프트 등 주요 게임업체의 제조공장 및 아시아 퍼시픽 사업본부가 많이 위치해 있다.

때문에 싱가포르는 전 세계 게임시장에 있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허브로 주요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엔드유저가 피부로 느끼는 싱가포르 일반 비디오게임시장은 앞서 설명한 상황과 판이하게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

◆90년대 초반 용산모습과 비슷

현재 싱가포르에서 PS2, Xbox, PSP, NDS 등의 비디오게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구입할 수 있는 곳은 후난 스퀘어, 심림 스퀘어, 럭키마켓 등의 전자상가다. 하지만 국내 용산처럼 IT상가가 밀집돼 형성된 대형 전자상가 중 하나인 후난 스퀘어의 규모가 일반 5층 건물과 비슷하기 때문에 선인, 나진, 전자랜드 등의 마켓이 집중된 용산에 비하면 턱없이 작은 규모다.



▲싱가포르 시내에 위치한 럭키마켓의 모습

비디오게임 관련 상품을 팔고 있는 점포의 비중은 높은 편이다. 싱가포르의 전자상가는 크게 PC를 비롯한 하드웨어, 카메라, 휴대폰, 멀티미디어 기기 등의 상점으로 구분된다. PS2, Xbox, PSP 등의 비디오게임 관련 상품은 대개 휴대폰, 멀티미디어 기기를 판매하고 있는 상점에서 함께 취급되고 있으며 이런 상점들은 전체 상가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들 상가의 규모나 형태는 용산 나진상가와 비슷한 모습을 띠고 있다. 아이리버, 아이포드 등의 멀티미디어 기기와 휴대폰 등의 전자제품과 함께 취급하고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기종별로 다양한 타이틀을 진열해 놓고 판매하는 방식은 대동소이하다.

실제로 럭키마켓의 한 점원은 “한국, 일본 등의 전자상가를 방문해본 경험이 있다”며 “현지 판매방식이나 시세도 잘 알고 있다”고 설명해 싱가포르 내 비디오게임 판매방식은 한국, 일본에 영향을 어느 정도 받은 것으로 파악된다.

◆하드웨어는 싸고 소프트웨어는 비싸

싱가포르 비디오게임시장의 가장 큰 특징은 하드웨어는 싼 반면, 소프트웨어는 턱없이 비싸다는 것이다.

현재 싱가포르에서 유통되고 있는 하드웨어 중 PSP 단품가격이 260 싱가포르 달러(한화 182,000원), 밸류팩 가격이 360 싱가포르 달러(한화 252,000원)이며 11월에 발매된 닌텐도 게임보이 마이크로의 가격도 160 싱가포르 달러(한화 112,000원)로 한국에서 유통되고 있는 같은 기종의 하드웨어 가격과 비교하면 상당히 저렴하게 판매되고 있다. 이외에 보호케이스, 앰프 등의 액세서리 가격도 한국과 비슷한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의 가격은 다르다. 일반적으로 싱가포르 내 전자상가에서 유통되고 있는 비디오게임 타이틀의 평균가격은 70~80 싱가포르 달러(한화 49,000원~56,000원 정도)다.

그러나 PSP, NDS 등 최근 유저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은 휴대용게임기 타이틀(주로 피파, NBA, SSX 등 EA 스포츠게임)은 평균 160~260 싱가포르 달러(한화 112,000원~182,000원 정도)에 판매되고 있어 소비자가격이 3만원 중반에서 5만원 초반대로 형성된 국내 판매가격과 비교하면 상당히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일부 오래된 타이틀을 제외하고는 PS2나 Xbox 타이틀 가격도 이와 비슷하게 형성돼 있다.

‘EZ 어드밴스 트레이딩 엔터프라이즈’에서 근무하는 한 직원은 “대부분의 타이틀을 미국에서 가져오기 때문에 타이틀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밖에 없다”며 “가격이 높아도 인기 때문에 물건이 잘 팔린다”고 말했다.

◆절름발이 유통구조, Xbox만 안정세

이렇게 시장 내에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유통가격이 비정상적으로 형성된 것은 싱가포르 비디오게임시장이 절름발이 유통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싱가포르 비디오게임시장에서 70%이상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유통구조를 가지고 있는 Xbox는 싱가포르 내에 위치한 마이크로소프트 아시아 퍼시픽 오퍼레이션 센터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정식으로 퍼블리싱 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싱가포르는 공용어로 영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북미, 유럽타이틀을 로컬라이징 없이 국가코드를 바꾸고 등급만 조정하면 쉽게 제품을 출시할 수 있는 형태다. 실제로 80 싱가포르 달러 이상으로 판매되는 PS2, PSP 타이틀과 비교하면 Xbox 타이틀은 30~50 싱가포르 달러로 비교적 안정적인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


▲하드웨어 뿐만 아니라 다양한 주변기기와 액세서리도 모두 판매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Xbox사업 관계자는 “싱가포르는 아시아 퍼시픽 오퍼레이션 센터를 통해 현지 업체와 바로 계약을 맺어 사업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며 “한국이나 대만에서 사업하는 것 보다 싱가포르에서의 관련사업진행이 수월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PS2, PSP, NDS 등의 하드웨어와 대응소프트웨어 시장상황은 Xbox와 다르다.

SCE 관계자의 설명에 따르면 싱가포르, 홍콩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시장에서의 비디오게임 사업은 SCEI 본사내에 있는 담당 팀에서 관리하며 PS2, PSP 싱가포르 퍼블리싱을 진행한 SCEH(홍콩)은 지사 또는 법인이 아닌 일종의 연락사무소 개념이다. SCEH를 통해 현지에 유통되는 하드웨어는 일본에서 생산된 제품이며 가격은 현지 유통업체와 매장이 결정하는 방식을 따르고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 사업이 전혀 이뤄지지 않아 소프트웨어는 보따리상을 통해 북미, 유럽에서 수입되고 있는 것뿐이다.

이런 상황은 닌텐도 제품도 마찬가지며 마치 싱가포르의 비디오게임시장은 90년대 용산을 중심으로 형성된 절름발이 형태의 그레이마켓과 비슷한 형태를 띠고 있다.

◆매장마다 가격경쟁 심화

시장 구조가 이렇다 보니 시장 내에서 정찰제를 기대하는 것은 무리다.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판매가격이 매장별로 천차만별이다. PSP의 경우 전자상가 입구에 있는 한 매장에서는 258 싱가포르 달러에 판매되는 반면 상가 안쪽에 있는 매장에서는 280 싱가포르 달러에 판매되고 있다. 판매되고 있는 하드웨어 종류도 제각각이다.

소프트웨어도 상황은 비슷하다. 싱가포르가 영어권 국가이기 때문에 일본에서 발매된 타이틀보다 북미에서 발매된 타이틀이 상당 수 유통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타이틀이 보따리를 통해 수입된 것이기 때문에 정찰제가 아닌 수입가격에 일정한 이윤을 붙인 가격에 판매된다.

또 진열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가격이 명시돼 있지 않고 매장 직원이 제시한 가격을 기준으로 흥정을 해야 하는 고무줄 가격이어서 매장마다 호객행위 또는 단골손님을 잡기 위한 세일 등 다양한 방법의 판매 전략이 사용되고 있다.

◆시장규모 한정돼 비디오게임시장 가능성 희박

게임시장에 있어 싱가포르가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 주변 국가를 아우를 수 있는 허브지역으로 각광을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자체가 주요 플랫폼 홀더로부터 이렇게 외면 받고 있는 것은 주요 고객층이 한정돼 있기 때문이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싱가포르는 인구가 다른 아시아 지역에 비해 많지도 않을뿐더러 홍콩, 대만, 중국 등과 더불어 불법복제 국가라는 이미지가 강하기 때문에 비디오게임시장으로서 기능적인 측면에 큰 비중을 두지 않는다.

이는 비디오게임시장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SCE와 닌텐도가 정식으로 시장에 진출하고 있지 않은 것만 봐도 쉽게 알 수 있는 부분이다. 또 싱가포르 게임시장이 네트워크 대응 PC게임을 비롯한 온라인게임으로 재편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비디오게임시장의 비중은 70% 이상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Xbox 후속기종 Xbox360이 유통된다고 해도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싱가포르는 비디오게임 시장은 현대, 삼성 등이 닌텐도, 세가의 하드웨어를 국내에 정식유통하면서도 타이틀 수급이 원활하지 못해 그레이마켓의 한계를 넘어서지 못한 1990년대 국내 비디오게임시장과 비슷한 형태를 띠고 있다. 수입되고 있는 타이틀도 일부 마니아를 대상으로 판매되고 있기 때문에 시장규모가 현상유지 또는 축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잡지
2005년 3월호
2005년 2월호
2004년 12월호
2004년 11월호
2004년 10월호
게임일정
202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