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기사 > 전체

여름맞이 PC 업그레이드 가이드-AMD편

/ 2

게이머를 위한 AMD시스템

지난주에 올라간 2005년 여름 컴퓨터 업그레이드 가이드에 대해 많은 게이머들의 의견이 있었다. 그 중 상당수를 차지하는 것이『게임에는 AMD가 인텔보다 나은데 어째서 인텔만 소개했느냐』는 내용이었다.

높은 성능으로 주목받고 있는 AMD를 소개하지 못했던 점 필자로써도 상당히 아쉽게 생각하여 2005년 여름맞이 PC 업그레이드 가이드 번외편을 준비했다.

애슬론 시리즈는 x86 아키텍처 기반의 CPU 최초로 64bit모드 지원, 메모리 컨트롤러 내장, 낮은 발열과 뛰어난 성능으로 게임 매니아들 사이에서 최고의 주가를 올리고 있다.

단, 이번 기사에선 AMD 플랫폼, 정확히 말하자면 AMD CPU와 메인보드에 대해 간략하게 다룰것이기에 그 외의 부분이 궁금하신 독자는 지난번 기사를 참조하시라.

여기서 잠깐, 인텔과 AMD CPU의 성능차이에 대해

AMD CPU가 인텔 CPU보다 높은 성능을 보이는건 '한가지 프로그램만 실행시킬 때'로 한정된다.

바꿔 말하면, 게임을 실행시키면서 곁다리로 다른 프로그램을 몇 개 더 실행시켰을 땐 인텔 CPU를 사용한 시스템이 더 좋은 성능을 보여준다. 게이머들이 흔히 MP3 플레이어나 IRC, 웹 브라우저를 띄워놓고 게임을 즐긴다는 점을 고려하면 인텔 CPU 시스템이 AMD에 비교해서 실질적으로 성능이 떨어진다고 볼 순 없는 것이다.

각설하고, 결국 이러한 차이가 벌어지는 이유는 CPU가 단일 작업과 다중작업 중 더욱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는 분야가 다르기 때문이다. 이런 차이점은 지난번 가이드에서 언급했던 고급형 1 과 고급형 2의 차이점과 마찬가지의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지난번 기사에서 언급했던 고급형 1 CPU 펜티엄 4 640은 전형적인 싱글코어 프로세서로 대용량의 L2캐시를 장착하여 단일작업 수행능력을 극대화시킨 경우라고 볼 수 있다. 그에 비해 고급형 2 CPU인 펜티엄 D 830은 요즘 유행하는 듀얼코어 프로세서에 속하며 게임 같은 단일 프로그램을 실행할 땐 고성능의 싱글코어 하나보다도 성능이 떨어진다.

PC는 OS 차원에서 여러가지 기본적인 프로그램들을 늘 실행시키고 있으니, 콘솔게임기처럼 온전히 단일 프로그램만을 처리하는 상황은 발생하지 않는다. 일정부분 멀티태스킹 환경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이 PC 하드웨어라는 뜻이다.

각설하고, CPU의 성능은 반드시 단일 태스크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한다고 더 높게 평가되긴 힘들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물론 이 외에도 최근 인텔 CPU는 높은 발열과 전력 소모량으로 인한 이미지 실추와 맞물려 성능이 과도하게 평가 절하된 측면이 있다. 펜티엄 4의 하이퍼 스레딩도 이런 부분에서의 효율을 극대화시킨 예이므로 PC를 사용할 때 이를 전적으로 무시할 순 없을 것이다.

때문에, CPU를 선택할 땐 오직 그 게임에서 최고의 성능을 보여주느냐와 다른 작업을 병행해도 성능 저하가 그다지 없느냐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할 것이다.

보급형

AMD 샘프론 시리즈는 인텔로 치자면 셀러론급에 해당하는 보급형 프로세서다. 가격은 6만원대에서 18만원대까지 분포되있으며 몇몇 모델은 특이하게도 64bit 모드를 지원한다.

AMD 샘프론 프로세서

소켓

코어

모델명

동작속도

L2 캐시

비고

Socket A
130nm

써러브레드B

2200+

1500MHz

256KB

3D Now!
Professional
SSE

2400+

1667MHz

256KB

2500+

1750MHz

256KB

2600+

1833MHz

256KB

2800+

2000MHz

256KB

3000+

2000MHz

512KB

Socket 754
90nm

팔레르모

2600+

1600MHz

256KB

3D Now!
Professional
SSE, SSE2

2800+

1600MHz

256KB

3000+

1800MHz

128KB

3100+

1800MHz

256KB

3300+

2000MHz

128KB

팔레르모64

2600+

1600MHz

256KB

3D Now!
Professional
SSE, SSE2, x64

2800+

1600MHz

256KB

3000+

1800MHz

128KB

3300+

2000MHz

256KB

Socket 754
130nm

파리

3100+

1800MHz

256KB

3D Now!
Professional
SSE, SSE2

위의 모델 중 추천할만한 제품은 팔레르모64 2800+ 모델이다. 10만원이 체 안되는 가격에 64bit 모드를 지원하며 L2 캐시도 256KB로 보급형 치곤 넉넉한 편. 실클럭 속도도 1.6GHz로 높지 않은데다가 90nm 공정으로 제작되어 발열문제도 적다.

써러브레드 B 코어나 파리 코어를 사용한 샘프론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선택하지 않는것이 좋다.

샘프론64 (Socket 754)를 지원하는 노스브릿지는 다음과 같다.

제조사

노스브릿지

VIA

KT8T800 / KT8T8PRO / K8M800 / K8T890

SiS

SiS 755 / SiS756 / SiS760GX

nVidia

nForce3-150 / 250 / 250Gb

ALI

ALI M1689

이중에서 가장 쓸만한것은 nForce3-250를 노스브릿지로 사용한 메인보드로, 기가비트 랜이나 SATA기능은 없지만 기본 성능과 안정성이 뛰어나다.

시장에서 구입할 수 있는 nForce3-250 메인보드 중 추천하는 것은 유니텍의 NF3 Pro 모델로 5만원이 체 안되는 저렴한 가격이 특징이다.

일반형

게임을 위해 AMD 시스템을 선택했다면 대부분 일반형 CPU을 고를것이다. 애슬론64는 뛰어난 성능과 낮은 발열, 64bit 모드 지원으로 AMD를 인텔에 버금가는 CPU 메이커로 만든 일등공신이다.

이들 중 주목할만한 모델은 베니스 시리즈다. 베니스 시리즈는 SSE3를 지원하며(하이퍼 스레딩과 관련된 일부 명령어 제외) 가격대도 적당하다.

AMD 애슬론64 프로세서

소켓

코어

모델명

동작속도

L2 캐시

비고

Socket 754
130nm

뉴캐슬

2800+

1800MHz

512KB

3D Now!
Professional
SSE, SSE2, x64

3000+

2000MHz

512KB

3200+

2200MHz

512KB

Socket 939
90nm

베니스

3000+

1800MHz

512KB

3D Now!
Professional
SSE, SSE2, SSE3
x64

3200+

2000MHz

512KB

3500+

2200MHz

512KB

3800+

2400MHz

512KB

샌디에고

3700+

2200MHz

1MB

3D Now!
Professional
SSE, SSE2
x64

4000+

2400MHz

1MB

윈체스터

3000+

1800MHz

512KB

3D Now!
Professional
SSE, SSE2
x64

3200+

2000MHz

512KB

3500+

2200MHz

512KB

Socket 939
130nm

크로우헤머

4000+

 2400MHz

1MB

3D Now!
Professional
SSE, SSE2
x64 

게이머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은 베니스 3000+ 모델은 오버클럭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필자 개인적으론 베니스 3200+ 모델을 추천하고 싶다.

오버클럭을 하지 않을 사용자에게도 만족할만한 성능을 보이며, 상위 등급인 3500+, 3800+ 와 비교했을 때 가격대 성능비가 우수하다.

베니스 3200+를 위한 노스브릿지로는 nForce4 시리즈를 추천하며, 그중에서도 nForce4-Ultra 모델이 좋다.

시장에서 구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Epox사의 9NPA Ultra 메인보드를 추천한다. Legacy PCI 3슬롯 / PCI Express X1 3슬롯을 지원하여 확장성이 높고 안정성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가격도 10만원 미만으로 저렴한 편이다.

고급형

AMD의 고급형 CPU들은 인텔보다도 높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아래에 소개하는 애슬론64 X2는 듀얼코어 제품군이며 FX 시리즈는 펜티엄 4 익스트림 에디션에 해당한다고 이해하면 된다.

AMD 애슬론64 X2 프로세서

소켓

코어

모델명

동작속도

L2 캐시

비고

Socket 939
90nm

맨체스터

3800+

2000MHz

512KB x 2

3D Now!
Professional
SSE, SSE2, SSE3
x64

4200+

2200MHz

512KB x 2

4600+

2400MHz

512KB x 2

톨레도

4400+

2200MHz

1MB x 2

4800+

2400MHz

1MB x 2

애슬론64 X2 프로세서는 분명 엄청난 성능을 보이지만, 그만큼 가격도 비싸서 '이걸 사라'고 자신있게 추천할 만한 제품은 없다. 하지만 굳이 고르라면 톨레도 코어의 4400+ 모델이 가격 대 성능비가 가장 뛰어나다.

AMD 애슬론64-FX 프로세서

소켓

코어

모델명

동작속도

L2 캐시

비고

Socket 940
130nm

크로우헤머

FX-51

2200MHz

1MB

3D Now!
Professional
SSE, SSE2
x64

FX-53

2400MHz

1MB

Socket 939
90nm

크로우헤머

FX-53

2400MHz

1MB

3D Now!
Professional
SSE, SSE2, SSE3
x64

FX-55

2600MHz

1MB

FX-57

2800MHz

1MB

애슬론64-FX 시리즈는 듀얼코어 제품군이 나오기 전까지 분명 최고의 프로세서였지만 (서버용 옵테론을 제외했을 때) 현재로써는 X2에 비해 메리트가 없다.

메인보드는 고민의 여지 없이 nForce4 Ultra 또는 nForce4 SLI를 선택하면 된다. nForce4 SLI는 SLI를 지원하는 동일 모델의 그래픽카드 2기를 장착하여 게임 성능을 30~70%가량 증가시키는 규격이다.

추천하는 모델은 nForce4 SLI 칩셋을 채용한 ABIT사의 AN8 SLI 모델. 18만원대의 적당한 가격으로 최고의 CPU에 걸맞는 최고의 성능을 보인다.

총 견적

총 견적 중 지금 소개한 CPU와 메인보드를 제외한 나머지 부품은 지난번 업그레이드 가이드의 것을 그대로 적용하였다.

구분

보급형

일반형

고급형

CPU

샘프론64 2800+
(팔레르모64 코어)
9만5천원

애슬론64 3200+
(베니스 코어)
21만5천원

애슬론64 X2 4400+
(톨레도 코어)
71만원 (예정)

M/B

유니텍 NF3 Pro
4만5천원

Epox 9NPA Ultra
9만5천원

ABIT AN8 SLI
18만5천원

VGA

라데온X700
12만원

지포스 6600GT
16만원

지포스 7800GTX
53만원

메모리

DDR 256MB x 2
5만원

DDR 512MB x2
11만원

DDR 512MB x 4
22만원

HDD

맥스터 120GB
7만 5천원

시게이트 200GB
9만원

키보드 및 마우스

키보드: 2~4만원 / 마우스: 1~7만원

파워 서플라이

350Watt
2만5천원

400Watt
6만원

500Watt
10만원

케이스

3만원

6만원

10만원

ODD

CD-ROM
2만원

DVD±R : 7만원

FDD

1만원

합계

50만원

90만원

201만원

이전의 인텔 시스템과 비교해보면 알 수 있지만, 보급형과 고급형의 가격은 AMD가 오히려 더 비싸다. 이전 가이드에서 제시되었던 인텔 시스템과 비교하면 좀더 나은 성능을 보이는 구성이기에 가격도 그만큼 올라갔다고 이해하면 될 것이다.

주목할만한 부분은 일반형 시스템이다. 지난번 가이드의 일반형 인텔 시스템과 비교해서 더욱 나은 성능임에도 불구하고 가격은 8만원가량 더 저렴함을 알 수 있다.

물론 가이드 시작부분에서도 이야기 했듯, 단일 프로그램 수행능력이나 멀티태스킹 환경의 유연함 중 어느쪽이 절대적으로 우선하는것은 아니다. 때문에 이 글을 읽게 될 독자는 시스템을 구성하기 전에 자신의 컴퓨팅 성향을 냉철히 파악하여 거기에 맞는 시스템을 구입해야 할 것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잡지
2000년 12월호
2000년 11월호
2000년 10월호
2000년 9월호 부록
2000년 9월호
게임일정
202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