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기사 > 전체

게임 델타포스 시리즈의 델타포스

/ 2



<밀리터리 게임속의 특수부대들>


게임 델타포스 시리즈의 델타포스 (1/5)

................................................................................................................
미 국방부와 육군에서 그 존재조차 부정하는 미육군 최정예 특수부대인 델타포스. 워낙에 비밀리에 작전을 벌이기 때문에 인터넷에서 조차 자료를 찾기가 만만치 않다. 이번회에서는 그런 델타포스를 소재로한 노바로직의 델타포스 시리즈와 실제 델타포스 부대를 살펴보도록 하자.
................................................................................................................




▶ 델타포스의 탄생


1970년대의 테러리즘은 전세계 각국으로 하여금 대테러부대에 대한 필요성을 부각시켰으며 1972년 뮌헨올림픽에서 검은9월단이 벌인 인질극은 경찰의 힘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테러에 대해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특수부대들을 창설하게끔 하는 결정적인 원인이 되었다.

결국 카터 행정부는 미국방성에 대테러 특수부대의 창설을 명령했고 미국밖에서 벌어지는 테러에 대응하기 위한 대표적인 대테러부대 중에 하나인 델타포스가 1977년 찰리 벡위드 대령에 의해서 창설되었다.

델타포스라는 명칭은 정식 부대명칭은 아니고 언론과 미디어에서 만들어낸 호칭일뿐이다. 실제의 이름은 제 1 특수전 분견대 델타(1st Special Forces Operational Detachment)로써 최고 주안점을 두는 임무는 인질구출이지만 실제로 미국 특수전 사령부의 최정예 특수부대로써 요인경호를 포함한 모든 특수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






<밀리터리 게임속의 특수부대들>


게임 델타포스 시리즈의 델타포스 (2/5)



▶ 델타포스의 조직 구성

델타포스의 구성은 런羞뼈岵막?영국의 대표적인 특수부대인 SAS와 거의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부대의 창설자인 찰리 벡위드 대령이 SAS에서 1962년부터 1963년까지 머무르면서 받은 영향때문인데 실제로 델타포스의 기본 편제나 정확한 인원수는 아직도 기밀에 속하지만 대체로 SAS와 유사한 반, 중대, 대대으로 총 300여명으로 구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델타포스의 본부는 미육군 포트 브래그기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자체적으로 다양한 크기의 사격 훈련 시설과 올림픽 경기 기준의 수영장, 잠수풀 등을 갖추고 있으며 영국의 SAS, 독일의 GSG-9, 프랑스의 GIGN 등과 같은 세계적인 수준의 대테러부대들과 정기적인 합동 훈련을 통한 훈련도 실시하고 있다.

또한 미육군 특수전 사령부(USASOC) 산하의 제160 특수전 비행연대의 도움을 받아서 작전을 벌이거나 자체적인 비행중대를 통해서 비밀작전을 수행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민간 항공기로 위장한 부대 자체의 항공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밀리터리 게임속의 특수부대들>


게임 델타포스 시리즈의 델타포스 (3/5)



▶ 델타포스의 활약

델타포스의 활약은 공식적인 발표를 통해서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 미 국방부에서는 아직도 델타포스라는 부대의 존재 자체를 부인하고 있으며 실제로 델타포스 요원들은 자신들의 신분을 사령부소속이라고만 할 뿐, 부대 관련 휘장이나 마크류를 부착하지 않는다고 한다.


따라서 이들의 활약이 정확하게 소개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CIA와 연계해서 수없이 많은 비밀 작전에 관여했을 것이라는 추측만을 하고 있다. 다만 예외적으로 부대가 창설된 후 처음으로 실전으로 투입됐던 Operation Eagle's Craw(이란 주재 미 대사관 탈환 작전)에서는 텔타포스의 작전팀이 탑승했던 헬기가 사막 한가운데에 추락하는 바람에 언론의 주목을 끌었다(이 사건은 그 뒤를 이어서 창설되는 미해군의 대테러팀 씰 6팀의 창설 배경이 되기도 한다).

또한 소말리아의 희망수복 작전 중에 반군 지도자인 아이디드를 체포하기 위해서 레인저와 함께 투입된 비밀작전에서는 예상치못한 강력한 반격 때문에 3명의 델타포스 요원들이 전사했으며, 공교롭게도 이 두개의 작전이 가장 잘 알려진 델타포스의 작전들이다.


물론 이 외에도 그라나다 총독 구출작전이나 걸프전에서의 스커드 미사일 사냥, 쿠웨이트 항공기 납치 사건, 사이프러스에서의 항공기 납치 사건 등에 투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수많은 작전들 중에서 극히 일부만이 알려져 있을 뿐이다.






<밀리터리 게임속의 특수부대들>


게임 델타포스 시리즈의 델타포스 (4/5)



▶ 게임 델타포스 시리즈

노바로직의 델타포스는 제목 그대로 미육군 최강의 특수부대인 델타포스를 소재로 다루고 있는 이른바 ‘밀리터리 액션 게임’이다. 하지만 델타포스 시리즈는 델타포스 1, 델타포스 2 그리고 델타포스 3편격인 델타포스 랜드워리어에 이르기까지 싱글플레이의 인공지능이 너무 떨어진다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에 미션들의 구성에 있어서는 중남미 국가의 마약상 기지를 기습한다거나 VIP의 차량을 에스코트하는 식의 구성으로 실제 델타포스가 담당하는 역할과 유사한 미션들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델타포스 시리즈는 처음 1편에서 사용된 복쉘엔진과 그 이후에 부분적으로 사용된 하드웨어 가속의 단점 때문에 실내전보다는 실외전에 치중하게 되었고, 이러한 점은 멀티플레이에서는 최고의 환경을 제공하는 이점이 되었지만 혼자서 즐기는 싱글플레이를 지나치게 단조롭게 만드는 단점이 되었다.


델타포스 시리즈의 최고 장점을 꼽으라면 무엇보다도 커다란 실외맵에서 펼쳐지는 멀티플레이의 재미이다. 여러 가지 단점이 지적되었던 복쉘엔진도 실외맵에 있어서 나무나 바위 등의 지형지물을 단순한 텍스처로 처리하지 않고 각각의 물리값을 가질 수 있게 해줌으로서 사실감을 높이는데 크게 일조했다는 평이다.


대체로 10미터 범위안에서 적과 조우해서 교전을 벌이게 되는 다른 밀리터리 게임들과는 다르게 몇백미터 이상의 거리에서 각자의 화기의 장단점에 맞춰서 서로의 역할에 맞게 팀웍을 구사하는 분대전의 극치를 맛볼 수 있었던 게임이 바로 델타포스였다.


하지만 이런 뛰어난 멀티플레이는 전체적인 전투의 양상이 일반 보병들의 분대전투일 뿐 델타포스라는 특수부대가 가지는 특성을 보여주는데는 많이 미흡했었고 오히려 떨어지는 인공지능이 가장 큰 문제였던 싱글플레이가 특수부대로서의 델타포스의 역할을 더 잘 묘사하고 있었다.






<밀리터리 게임속의 특수부대들>


게임 델타포스 시리즈의 델타포스 (5/5)



▶ 무기 비교 및 소개
- 1

실제 델타포스의 장비는 그 어느 때건 그 당시에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최고의 선택을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렇기 때문에 다른 어떤 특수부대보다도 훨씬 더 자유롭게 무기들을 선택할 수 있다고 한다. 창설초기에 사용된 콜트 거버먼트 모델도 완전히 개조를 한 풀 커스텀 모델을 사용했었으며, 현재는 베레타 92FS나 시그 P228 그리고 SOCOM MK.23와 같은 권총들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기본적인 무장은 현재 대부분 M4 카빈으로 통일된 상태이지만 다른 부대들과는 다르게 지원화기로는 HK-21 경기관총을 사용한다고 한다. 저격총의 경우에는 M40, 바렛 M82A1, 맥밀란 M88 등을 사용하고 있다.

게임 델타포스 시리즈에서는 1편과 2편은 크게 차이가 없는 무기 체계를 가지고 있지만 랜드워리어에서는 OICW와 같은 아직 실용화되지 않은 장비들이 다수 등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델타포스 2에서 사용된 무기들과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델타포스 2의 무기체계를 기준으로 간단하게 살펴보자. 단, 게임에서 적용되는 데이터이기 때문에 실제와는 다소 차이가 날 수 있다.


[ USSOCOM MK.23 공격 권총 ]
 

탄창 용량: 10발
유효 사거리: 50미터
델타포스의 제식 권총 중 하나. 특수부대용의 제식 권총으로 설계되었지만 지나치게 비싸고 무게가 너무 무겁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하지만 불가능에 가까운 모든 요구조건을 충족시키면서 탄생된 권총인만큼 어떤 환경에서도 작동되는 뛰어난 신뢰성과 권총의 한계이상으로 끌어올린 명중률을 가지고 있다. MK.23 개발과정에서 파생된 USP는 비록 MK.23보다 다소 성능이 뒤쳐지지만 SWAT이나 특수부대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 H&K P11 수중 권총 ]
 
탄창 용량: 5발
유효 사거리: 15미터





전기 점화 방식으로 발사되는 수중용 권총이다. 델타포스 1에서는 물속에서 대검을 제외한 다른 무기를 사용할 수 없었던 반면, 델타포스 2부터는 수중에서 사용 가능한 화기들이 등장하면서 물속에서의 전투도 가능하게 되었다.


[ H&K MP5SD3 소음 기관단총 ]
 

탄창 용량: 30발
유효 사거리: 100미터
기타 기능: 소음기 기본 장착
특수부대의 기본무기와도 같이 취급되는 H&K사 최고의 명작. 기관단총의 ‘롤스로이스’라고도 불리운다. 미해군 네이비씰의 요청에 의해서 내부식성 코딩과 왼손잡이도 사용할 수 있게끔 디자인된 권총손잡이 등을 갖추고 있다. SD 시리즈는 소음기를 기본 장착한 형식이다.






<밀리터리 게임속의 특수부대들>


게임 델타포스 시리즈의 델타포스 (5/5)



▶ 무기 비교 및 소개
- 2


[ APS 수중 소총 ]
 

탄창 용량: 26발
유효 사거리: 100 미터(지상),
30 미터(수중)
직경 5.56mm, 길이 150mm의 화살형태의 다트를 발사하는 수중용 돌격 소총. 사정거리 안에서는 옷이나 얼굴의 마스크를 뚫고 들어가서 인체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사정이 급할 경우에는 지상에서도 소음총 대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 M4 카빈 (유탄발사기 부착) ]
 



  탄창 용량: 30발 + 1발 (유탄)
  유효 사거리: 500 미터
  기타기능: 4배울 조준경
M16A2를 밀어내고 점차 전군 제식 소총으로 떠오르고 있는 M4 카빈은 용이한 휴대성과 강력한 화력을 필요로 하는 특수부대의 요구에 의해서 만들어진 CAR-15의 완성형이라고 할 수 있다. 델타포스 시리즈에 등장하는 M4 카빈은 4배율 조준경을 기본으로 장착하고 총열아래쪽에 M203유탄 발사기를 부착하고 있다.


[ M4 카빈 “Masterkey"(산탄총 부착) ]
 



  탄창 용량: 30발 + 5발 (산탄)
  유효 사거리: 500 미터
  기타기능: 4배울 조준경
‘Masterkey'라는 명칭은 M4의 총열 아래쪽에 부착한 레밍턴 M870 산탄총으로 어떤 문이라도 열 수 있다는 뜻으로 사용되는 ’만능열쇠‘라는 의미이다. 실제로 SWAT나 다른 대테러부대에서는 산탄총을 이용해서 문의 경첩부분을 파괴하거나 자물쇠 부분을 파괴해서 문을 열곤 한다.







<밀리터리 게임속의 특수부대들>


게임 델타포스 시리즈의 델타포스 (5/5)



▶ 무기 비교 및 소개
- 3


[ M249 분대지원화기(SAW: Squad Automatic Weapon) ]
 

탄창 용량: 200발
유효 사거리: 800 미터
 
기존의 분대지원화기였던 M60을 밀어내고 명실공히 미군의 제식 분대지원화기의 자리를 차지한 벨기에의 FN사에서 만든 기관총이다. 200발 용량의 플라스틱 탄창을 사용하고 있으며, 일부 특수부대에서는 휴대의 용이성을 위해서 100발 용량의 천으로 만들어진 탄창을 휴대하기도 한다. 기본형인 M249 말고도 공수부대와 같이 경장비를 운용해서 하는 부대를 위한 파라모델도 존재하며, 최근에는 네이비씰을 위해서 더 가볍고 작게 만든 모델도 있다.

게임에서는 팀원들을 지원하는 원래의 용도말고도 원거리에서 저격을 하는 저격수에 대해서 강력한 탄막을 형성해서 저격수를 제거하는데도 사용하곤 한다.


[ LAW 대전차 로켓 ]
 



  유효 사거리: 400 미터
지름 66mm의 비유도 로켓을 발사하는 대전차 무기이다. 개발될 당시에는 350mm의 철판을 관통할 수 있는 위력을 가지고 있었지만 점차 반응장갑이나 복합소재의 장갑이 개발되면서 본격적인 대전차용 무기로서 사용하기에는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게 되었기 때문에 현재의 유무선 방식의 다양한 대전차로켓들에 의해서 대체가 되었다. 하지만 적의 진지나 벙커에 대한 공격에 있어서는 여전히 유효하며 휴대가 간편하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LAW자체는 로켓을 발사한 후에는 재장전을 할 수 없는 1회용 무기이다.


[ M40A1 저격총 ]
 



  탄창 용량: 5발
  유효 사거리: 800 미터
  기타기능: 10배울 조준경
M-14 돌격소총을 개조한 M-21 저격총의 후계자로 미육군에서는 M-24를 선택한 반면 미해병대에서는 민간용 사냥총인 레밍턴 M700을 개조한 M40A1을 선택했다. 사격경기용 총열과 피버글래스 재질의 개머리판 등, 다양한 부분에 대해서 콴티코 조병창에 있는 건스미스들에 의해서 개량되었으며 현재 미 해병대에서 사용되고 있다.


[ 바렛 M82A1 .50구경 저격총 ]
 



  탄창 용량: 8발
  유효 사거리: 1500 미터
  기타기능: 10배울 조준경
M2HB 중기관총에 사용되는 12.7mm(데저트 이글에 사용되는 .50AE와 비교해서는 안 된다)탄을 사용하는 저격총이다. 일반적인 저격총의 사정거리인 800미터 이상의 원거리 표적이나 장갑 차량에 대한 저격에 사용되는 M82A1은 폭발물 처리반에서 폭탄이나 지뢰의 제거에도 사용된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게임잡지
2006년 8월호
2006년 7월호
2005년 8월호
2004년 10월호
2004년 4월호
게임일정
202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