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기사 > 전체

하이엔드 그래픽카드 - Geforce 6800 Ultra

/ 2

2004년 봄, Nvidia의 Geforce 6800 패밀리와 ATI의 X패밀리의 등장으로 그래픽 카드 시장은 새로운 전환기를 맞게 됐다.

당시에만 해도 하이엔드 급으로 자리잡고 있던 GeforceFX 5900과 Radeon 9800xt가 초라하게 느껴질 정도로 스펙 또한 이전 시리즈의 몇배에 달하게 되었으며 개인유저의 그래픽 카드로 쓰기에는 부담스러울 정도로 성능은 대단하다.

실제로 개인유저가 그래픽 카드의 모든 성능을 다 쓰는 경우는 거의 드물다. 단지 둠3나 하프라이프2를 원활하게 플레이하기 위한 정도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다 했던가? 보다 나은 그래픽을 위해 보다 높은 프레임을 위해 지름신의 압박을 과감히 반사시키며 끊임없이 업그레이드를 감행하는 사례를 주변에서 많이 보고 느꼈을 것이다.

자 여기, 현존 최고의 성능을 뿜어내는 Nvidia사의 Geforce 6800 Ultra의 성능을 느끼게 된다면 당신의 주변 인물들에게만 찾아온다는 지름신이 당신에게도 찾아오게 될 것이다. 물론, 당신의 모든 결정은 Own Risk인 것을 염두에 두자.

1. Geforce 6800 Ultra - 스펙

제품명

GeForce 6800 Ultra

코어클럭

400MHz

메모리 클럭

550MHz (DDR 1.1GHz)

메모리 용량 및 버스 대역

GDDR3 256MB, 256bit

픽셀 파이프라인수

16

쉐이더 모델

Pixel Shader 3.0, Vertex Shader 3.0

필레이트

64억 Texels/s

메모리 대역폭

35.2GB/s

RAMDAC

400MHz

Geforce 6800 Ultra는 외형부터가 압도적이다. 상대적으로 긴 PCB 기판에 슬롯베이를 두개나 차지하게 만드는 괴물쿨러, 180W의 전력을 뽑아가는 두개의 전원입력 커넥터는 NVIDIA사에서 권장하는 480W의 파워가 필요한 이유를 증명하는 듯 하다.

▲레퍼런스 6800 ultra

GeForce 6800 Ultra 레퍼런스 카드에 장착되어 있는 메모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GDDR3로써 256bit의 인터페이스를 갖는 삼성의 256Mbit 메모리 8개로 구성되어 있다. 550MHz(DDR 1100MHz)로 동작을 하며 최대 대역폭은 35.2GB/s에 이른다.

S-Video In/Out을 위한 9핀 단자와 2개의 DVI-I 커넥터로 구성되어 있는 백패널에는 아날로그 모니터 연결을 위한 D-Sub 단자가 없기 때문에 기존 CRT나 DVI 입력을 지원하지 않는 모니터는 DVI-to-Dsub 어댑터를 이용하면 된다. 따라서 LCD 모니터를 따로 구입하는 오류를 범하지 말기 바란다.

2. 성능테스트

6800(NV40)패밀리의 성능에 대한 평가는 이미 많은 하드웨어 사이트의 리뷰와 분석을 통해 알려져 있으며, 시스템의 성능에 따른 우위와 아직 불안정한 포스웨어 드라이버를 이용한 테스트로는 각기 다른 결과값이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무슨 이유에선지 제공받은 GeForce 6800 Ultra 레퍼런스 카드가 시스템에서 별 수를 다 써보아도 6800 노멀로 잡히는 문제 때문에 논란의 여지를 만들지 않기 위해 본 리뷰에서는 필자의 작업시스템과 포스웨어 71.20을 기반으로 간단한 성능테스트만을 진행함을 양해 바란다.

테스트 사양은 다음과 같다.

테스트 사양

CPU

Intel Pentium4 3.0 ⓒ GHz

M/B

ASUS P4P800

VGA

 nVidia GeForce 6800 Ultra (256MB) 레퍼런스

메모리

Geil 3200 512MB * 2 Dual-Channel

HDD

 Seagate Barracuda ATA-IV 60GB

SPS

 Antec 정격 480w

ODD

 Liteon 52x Combo

운영체제

 Microsoft Windows XP Professional SP2

드라이버

Direct X 9.0CIntel Chipset INF Update Utility 6.2nVidia ForceWare 71.20

Geforce 6800 Ultra 레퍼런스 보드의 코어와 메모리 클럭은 오버하지 않은 채 안티비방 등을 처리하지 않는 디폴트 상태로 그래픽카드 벤치마크 테스트의 관례가 되어버린 FutureMark사의 3DMARK 2003 및 2005 버전으로 테스트를 진행했다.

FutureMark 3DMARK 2003
디폴트 상태에서 11500점대의 점수가 나왔다. 6800GT와 별 차이가 없다고 느껴지겠만 위에서 언급한대로 현재 필자의 시스템은 오버용 시스템이 아닌 노멀상태의 시스템인 점과 WINDOW XP SP2에서 발생되는 3DMARK03의 렉현상 발생 그리고 제공받은 Geforce 6800 Ultra 레퍼런스 보드가 6800 노멀로 잡히는 문제 등 변수로 작용 하는 부분을 감안한다면 무난한 점수라 할 수 있다.

FutureMark 3DMARK 2005
마찬가지로 3DMARK 2005에서 안티비방 없는 디폴트 상태에서 측정했으며 가볍게 5000점을 넘겼다.  

 

3. 게임 프레임 측정 테스트 및 렌더링 테스트

벤치마크에서 나타내는 수치와 실제 게임에서의 성능 체감이 다르게 느껴질 수 있으므로, 많은 유저가 공감 할 수 있도록 게임상에서의 프레임을 측정해 보았다. 이와 실제 성능을 체감해 볼 수 있도록 테크데모를 통해 실시간 렌더링 테스트도 진행을 했다.

*프레임 측정에 사용된 게임

*렌더링 테스트에 사용된 프로그램

DOOM3

Nvidia Tech Demo “NARU”

WORLD OF WARCRAFT

ATI TECH DEMO

LAST CHAOS

*게임 프레임 테스트

▲1600*1200 안티비방 풀 옵션에서도 60프레임을 유지

▲DOOM3 울트라 모드에서 평균 50 프레임를 유지하는 기염을 토한다

▲최근 오픈베타테스트 중인 라스트 카오스, 1600*1200 안티비방 풀옵션시 평균 35프레임대로 유지, 반사효과가 상당한 프레임을 잡아먹는다. 반사효과 제거시 평균 60프레임을 유지

*렌더링 테스트

▲Nvidia Tech Demo “NARU”에서 평균 15프레임을 기록

▲ATI Techdemo에서는 평균 30프레임 이상을 유지했다 --;

렌더링 테스트를 진행하면서 웃지 못 할 상황이 발생됐는데 정작 ATI의 테크데모가 NVIDIA의 테크데모보다 부드럽게 진행됐다는 점이다. 물론 프레임도 더블 스코어를 기록했다. NVIDIA의 테크데모가 상대적으로 가혹하기로 소문이 났긴 하지만 말이다.

4. 대단한 체감 성능 그러나 문제는 가격
Geforce 6800 Ultra를 테스트 하면서 체감적으로 NV40 코어의 대단함에 감탄사를 연발하게 되었다. 필자가 처음 6600GT를 테스트할 때의 감동이 다시금 Geforce 6800 Ultra에서 밀려왔다. 128비트와 256비트의 처리속도에 대해 확연히 느끼게 됐고 테크데모에서의 끊김 없는 렌더링 능력을 느끼게 되었으며, 가장 강점을 보인 게임에서의 고정 프레임 유지능력은 필자로 하여금 “지르고 싶다”는 마음을 갖게 만들기 충분했다.  

GeForce 6800 Ultra의 성능은 너무나 대단했다. 단지 벤치마크의 점수상승만으로 성능의 우위가 느껴지는 게 아닌 실제 게임과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체감성능은 현존하는 하이엔드급 그래픽카드 중 최고라 말하고 싶다.

하지만 70만원대의 높은 가격대라는 것과 단지 6800 Ultra 구입에서만 끝나는 것이 아닌 추가적인 하드웨어(Nvidia에서 발표한 권장 파워는 480w)구입비용의 발생으로 현실적이지 못한 금액이 사용자에게 요구된다는 점이다.

현재 Nvidia의 메인스트림은 6600GT이며 20~30만원의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6600GT 자체의 성능이 워낙 월등하기 때문에 당분간 시장에서의 주도권을 이룰 것이다. 하지만 고클럭의 코어에 메모리를 투입한 대신 128비트로 처리가 되는 6600GT는 2005년도에 출시될 게임이나 어플리케이션에서 어느 정도의 성능을 나타낼지가 미지수이기에 필자는 곧 256비트의 처리능력을 갖고 있는 6800 시리즈가  메인스트림이 될 것이라 예상을 하고 있다. 물론 현실적인 가격 형성이 필수겟지만 말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공유해 주세요
만평동산
2018~2020
2015~2017
2011~2014
2006~2010
게임일정
2025
11